『나주 정촌고분 출토 모자도(母·子刀)제작기술 복원』보고서 발간
상태바
『나주 정촌고분 출토 모자도(母·子刀)제작기술 복원』보고서 발간
  • 최용진 기자
  • 승인 2021.04.12 14:27
  • 댓글 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-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, 모자도 제작기술과 재현품 제작 과정 공개
나주 정촌고분 출토 모자도 제작기술 복원
나주 정촌고분 출토 모자도 제작기술 복원

【강산뉴스】 최용진 기자 =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나주 정촌고분 출토유물인 모자도(母子刀)의 제작기술을 알아내기 위한 연구와 재현품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수록한 『나주 정촌고분 출토 모자도 제작기술 복원』보고서를 발간하였다.

모자도는 장식용 칼로서, 큰 칼(大刀)인 모도(母刀)의 칼집에 작은 칼인 자도(子刀)가 붙어 있다. 자도는 모도 칼집 한쪽 면 혹은 양쪽 면에 붙어 있는데, 1개부터 최대 6개까지 부착되며 주로 삼국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다. 보통 이런 칼은 화려하고, 금, 은, 금동 등 귀한 재료로 만들어 무덤에 묻힌 사람의 신분과 위세를 보여준다.

정촌고분 모자도는 금동신발을 신고 있던 40대 여성의 것으로, 발굴 당시 원형을 알기 힘들 정도로 부식상태가 심해 2015년부터 총 5년에 걸쳐 제작기술 자료 확보와 분석 등 심화연구를 진행하였다. 모자도의 재료와 내부구조 파악을 위해 엑스(X)선 투과촬영, X선 컴퓨터 단층촬영, X선 형광분석 등 다양한 과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.

그 결과, 오각형 형태의 고리자루는 철심에 얇은 은피를 씌운 후 맞닿는 면에 은실을 메워서 땜질한 흔적과, 고리형태의 금띠장식은 구리로 만든 후 얇은 금판을 씌워서 제작한 점 등 제작기술의 핵심을 밝혀냈다.

이를 근거로 제작기술을 복원할 수 있는 설계도를 만들어 한상봉 국가무형문화재 장도장(제60호)이 재현하였고, 박강용 전북무형문화재 옻칠장(제13호)이 참여하여 완성하였다.

책자는 ▲ 출토상황과 과학분석, ▲ 제작기술 복원, ▲ 재현품 제작과정과, ‘한국 출토 모자도의 지역성과 나주지역 모자도(이건용)’, ‘일본열도 출토 모자 대도의 계보와 의미(김우대)’등 논고 2편도 수록하였다. 특히, 300쪽 분량의 부록 ‘한국의 모자도 자료집성’에서는 5∼6세기대 고분 출토 모자도 98점에 관한 목록, 유적위치, 출토유구, 출토상황(사진‧도면)ㆍ유물사진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여 활용 가치를 더하였다.

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2016년부터 추진한 고분출토 금공예품의 제작기술 복원 연구의 첫 결과물로 『고흥 야막고분 출토 투구 제작기술 복원(2018)』을 발간한 바 있다. 두 번째 성과인 이번 보고서는 고분 출토유물의 제작기술을 연구하는 지침서이자 금공예품에 대한 제작기술 복원 연구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.

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‘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’의 보물 지정 시기(2021년 6월 경)에 맞추어 모자도와 재현품을 함께 국민에게 전시할 예정이다.

youngjin6690@hanmail.net

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 0
댓글쓰기
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·계정인증을 통해
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.
주요기사
이슈포토